Java에서 문자열을 출력할 때는 print() 메서드를 호출하면서 인자로 "출력할 문자열"을 전달하거나 String 변수에 값을 대입해서 변수를 인자로 전달해서 출력할 수도 있다. 나처럼 초보님들 참고하시라고 이 내용을 예제에서 확인해본다.

 

아래쪽 예제의 첫 번째 출력 문장은 print() 메서드를 호출하면서 인자로 String 변수를 전달하고 두 번째 문장은 println()을 호출하면서 "문자열"을 전달해서 출력하고 있는 모습이다.

 

홍길동

 

예제처럼 여러 개의 인자로 하나의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print()와 println()을 적절히 사용해서 여러 개의 문장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자바에서는 문자열을 '+' 연산자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위의 예제는 다음과 같이 바꿔서 작성할 수도 있다.

 

 

입니다.

 

이처럼 자바에서 '+'연산자를 이용해서 문자열을 연속으로 나열하면 하나의 문장으로 출력이 된다. 이 속성을 이용하면 숫자도 연속으로 나열해서 표시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숫자 나열

 

이 소스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 개념을 하나 잡아야 하는데 자바에서 " "와 결합하는 모든 것들은 문자열이 된다. 즉, 위 예제에서는 ""+100 의 연산이 먼저 이루어져서 "100"이 된다. 그리고 "100"+200 연산이 이루어지는데 이 역시도 문자열과 숫자의 결합이기 때문에 100200이라는 문자열이 돼버리는 것이다. 확실히 이해를 하기 위해서 마지막으로 하나의 예제만 더 확인해본다.

 


300

 

이 예제는 300이 출력됐는데 이 녀석 역시 문자열이다. 단지 100+200 연산이 먼저 이루어지고 나중에 ""와 결합해서 300이 출력되기는 했지만 "300"이 출력된것이다.

 

이렇게 해서 자바에ㅐ서 String 자료형과 '+' 연산자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봤다.

 

Posted by 차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