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java boolean byte char 이번 글에서는 자바의 자료형 중에서 몇 가지를 정리해볼까 한다. java의 자료형에는 여덟 가지가 있는데 논리형 boolean과 정수형 byte, char, short, int, long, 실수형인 float, double이 그것들이다. 이것들 중에서 몇 가지의 기본 개념을 정리해볼까 한다.

 

그 첫 번째로 논리형 자료형인 boolean은 1byte의 공간을 사용하며 입출력 범위는 true와 false이다. 이것들은 큰따옴표 (" ")나 작은 따옴표(' ')를 사용해서 표현하면 안 된다. boolean aaa=true; 로 표현해야지 boolean bbb="false"처럼 하면 안 된다는 의미이다.

 

java


두 번째로 정수형 자료형인 byte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 녀석도 역시 1byte의 공간을 사용하며 -128부터 127까지 256개의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0포함) 이 범위를 절대로 벗어나서 입력할 수 없다.

다음은 char형인데 이 녀석은 2byte 공간을 사용하며 유일하게 unsigned date로 양수만 입력이 가능하며 그 범위는 0부터 65,535이다. 아스키 코드값을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이기 때문인데 이 값은 우리가 사용하는 키보드의 키들이 갖고 있는 고유의 숫자들이다. [char ch=65;]라고 데이터를 저장하면 아스키코드값 65에 해당하는 문자 'A'가 저장된다. 이는 char ch='A'로도 표현할 수 있으며 아스키코드값은 다음과 같다.

 

 

'a'~'z'는 순서대로 97부터 122까지 이며 'A'~ 'Z'는 65~90이다. 또한 0부터 9까지의 숫자들은 48~57이다. 이렇듯 키보드의 키들이 갖고 있는 값들을 저장하는데 마저 알아보자면 [Esc]는 27, '\t'는 탭 문자로 13이다. 0은 null 문자이며 백스페이스는 8이다.

 

자바


그리고 현재의 줄에서 다음 줄로 이동하는 문자는 '\n'으로 그 값은 10이고 현재 줄의 가장 앞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문자는 '\r'로 13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 줄을 개행하고 커서를 가장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엔터의 값은 '\n\r'이다. 이것들은 순서대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꿔서(\r\n) 입력하면 안된다.

 

이렇게 해서 자바의 자료형 중에서 boolean, byte, char의 크기와 범위 등 기본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봤다.

 

Posted by 차케요